<aside> 💡 방문자분석 데이터와 소비자 거래분석 데이터를 종합하여 분석하면, 서비스에 유입된 고객이 매출 증가와 연결되는 지 판단해 볼 수 있습니다.
</aside>
출처
신규 정책 반영에 따른 참고 사항
신규 정책 반영 이후 제공되는 월간 고유 방문자수는 ****월 단위의 순방문자수(Unique Visitors)를 기준으로, 동일 사용자가 해당 월에 여러 번 방문해도 1명으로 수집되는 것을 의미합니다.
해당 서비스의 고유 URL을 통해 식별한 데이터를 비교・분석 후 표본 집단 기반 추정한 값으로, 실제 서비스의 월간 고유 방문자 수와 다를 수 있습니다.
다음과 같은 케이스에 해당하는 경우, 기존 데이터 출처기관과 수집 및 분석 기준이 상이하여 신규 정책 반영 시점 전후로 제공하는 데이터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❶ 국내 모바일웹과 앱의 사용량이 기준이기 때문에, PC나 태블릿 디바이스 이용 데이터가 미포함되어 현재 PC 환경이 메인인 서비스의 방문자분석 데이터는 노출이 보류되거나 영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.
❷ 국내 서비스 방문자의 사용량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, 해외 방문자 수 데이터는 포함되지 않습니다. 따라서 해외 유저의 비율이 높거나 해외 타겟용의 서비스 방문자분석 데이터는 노출이 보류되거나 영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.
❸ 초기 스타트업 서비스의 방문자분석 데이터를 최대한 제공하고자 하였으나, 혁신의숲 데이터 노출 최소 기준에 미달되는 경우에는 노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.
❹ 이외에도 출처기관 상 수집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방문자분석 데이터 항목이 노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.
❺ 기업이 직접 제보한 데이터는 방문자 수에 대한 기준이 다를 수 있습니다.